Apache (4) 썸네일형 리스트형 사용자 디렉터리에서 PHP 사용하기 Apache 를 설정할 때에 userdir 모듈을 링크시키면 도메인/~계정명 으로 사용자 디렉터리를 이용할 수 있다고 했다. 여기까지의 내용을 아직 모른다면 다음의 포스트를 먼저 살펴보고 오자. http://s2junn.tistory.com/56 위와 같이 설정을 마쳤다면, 자신의 홈 디렉터리 밑에 public_html 폴더 밑에 index.html 파일을 두면 도메인/~계정명 으로 접근했을 때에 html 파일이 제대로 보이게 된다. 하지만 index.php 파일은 어떨까? 우리는 이미 다음의 포스트에서 PHP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http://s2junn.tistory.com/55 그런데 왜 사용자 디렉터리에선 PHP가 동작하지 않을까? 그 이유는 Apache 에서 친절하게도 사용자 .. 소프트웨어 사용권(Software license) jQuery mobile 의 라이센스에 대해서 조사하다가 소프트웨어 사용권에 대해 잘 정리되어 있는 블로그를 발견했다. gskinner.com 에 정리되어 있는 영문자료를 번역하여 정리해 놓으신 듯 하다. 종종 필요한 정보이고 자주 찾아보기 위해 약간의 첨언을 붙여 블로그에 옮겨놓는다.번역 원문 : http://http://codeonwort.tistory.com/4영어 원문 : http://www.gskinner.com/blog/archives/2008/07/source_code_lic_1.html소프트웨어 사용권(Software License)은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 또는 사용을 허가한다는 내용을 담은 문서를 말한다. 이 때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일 수도 있고, 독립적인 소프트.. Ubuntu Linux 에서 Apache 설정 Apache 설정법에 들어가기 전에 우분투 환경에서 APM(Apache, PHP, MySQL)이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아직 설치전이라면 다음 포스팅을 보고 설치를 마무리한 뒤 다시 이 글을 보도록 하자. http://s2junn.tistory.com/55 일반적으로 Apache 는 httpd.conf(/etc/httpd/conf/httpd.conf) 파일에서 설정을 했었는데 이번에 우분투에 설치한 버전의 Apache 에서는 기존의 방법과는 달라졌다. 어떻게 달라졌는지 살펴보자. 1. /etc/apache2 에 Apache 설정 관련 파일들이 존재한다. 2. 구조와 내용을 대충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apache2.conf Apache 기본설정 파일 conf.d charset localized-err.. Ubuntu Linux 에 APM(Apache, PHP, MySQL) 설치 우분투에 APM을 설치하여 LAMP(Linux + Apache + MySQL + PHP) 서버를 구축한다. 우분투(11.10)가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1. 터미널을 실행한다.(Ctrl + Alt + T) 2. Apache2 를 설치하기 위해 다음의 명령어를 입력한다. sudo apt-get install apache2 3. 암호를 입력하면 패키지 설치에 대한 확인 메시지가 나타난다. 4. Y 를 입력하면 apache2 패키지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한다. 5. 일련의 과정들이 지나가며 설치가 완료된다. 6. MySQL을 설치하기 위해 다음의 명령을 입력한다. sudo apt-get install mysql-server mysql-client 7. 패키지 설치를 확인하는 메시지가 출력된다. Y를 입력하면 .. 이전 1 다음